자녀동화2 지연리 작가의 '걱정 많은 새' -걱정이 꼬리에 꼬리를 물 때, 우리는 어떻게 해야할까? 걱정은 걱정을 먹고 자라난다는 말이 있습니다. 걱정이 많을때 우리는 어떻게 하고, 우리 아이들의 걱정에는 어떻게 공감해줘야할까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작은 새 노노의 이야기"날씨가 맑아도 걱정, 비가 와도 걱정, 아무 일도 없어도 걱정이에요" 이책의 주인공 노노는 이름처럼 자꾸만 "안돼", "못해" 라는 생각에 머무르는 작은새입니다. 노노는 걱정이 많습니다. 날개가 약하다는 생각, 날다가 떨어질지도 모른다는 불안, 혼자 남을까봐 두려운 마음이 노노를 꽁꽁 묶고있습니다. 그런 노노에게 가을의 이별과 날아야 할 시간은 무거운 숙제처럼 다가옵니다. 모두가 날아가야 한다고 말하지만, 노노는 날 수 있을지조차 확신하지 못합니다. 걱정은 자란다. 말하지 않으면 더 크게노노의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우리 안의 걱정.. 2025. 7. 13. 콜린 피에레 작가의 '더 이상 아이를 먹을 수는 없어' - 아이를 먹던 괴물은 왜 식탁에서 아이를 내려놓았을까? "이제는 더 이상 아이를 먹을 수 없어"이 한 문장으로 시작되는 책은 유쾌한 그림체와는 달리 철학적 메시지를 독자에게 던지는 책입니다. 괴물의 식탁에서 내려 온 아이들이야기 속 괴물들은 예전부터 아이를 먹고 살았습니다. 아이들은 늘 괴물들의 식사였고, 괴물들은 그것을 당연하게 여겼습니다. 어느날 부터인가 아이들이 맛이 없어졌고, 아이들을 먹으면 괴물들이 아프기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생각하기 시작합니다. "왜 더 이상 아이가 맛있지 않을까?""우리는 무엇을 잃고 있는 걸까?" 이 단순한 전환을 단순한 '입맛의 번화'가 아닙니다. 괴물들이 아이를 더 이상 먹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세상의 질서가 변하고, 아이들이 자라 어른이 되며, 괴물과 인간 사이의 경계가 희미해지는 과정이 그려집니다. 이는 우리가 익숙.. 2025. 7. 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