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족관계21

큐라이스 작가의 '세상에서 제일 예의 바른 괴물 봉바르봉' - 괴물은 무서워야 한다고 누가 그래요? 괴물이라고 하면 우리는 보통 어떤 이미지를 떠올릴까요?거대하고 무섭고, 파괴적이고, 때론 사람을 해칠지도 모르는 위험한 존재.그런데 만약 그 괴물이 두 손을 가지런히 모으고 "안녕하세요 봉바르봉입니다"라고 인사를 하면 어떤 생각이 들까요?이처럼 우리의 상식을 유쾌하게 뒤집는 이야기 입니다. 도시를 습격한 괴물? 그런데 너무 공손해!어느날 도시 한복판에 엄청나게 큰 괴물이 나타납니다. 사람들은 깜짝 놀라고, 도시는 아수라장이 됩니다. 하지만 이 괴물 봉바로봉은 건물을 조심히 걸어 다니고, 사람들에게 인사하고, 참치를 선물까지 합니다. 급기야 이 괴물을 잡으러온 히어로조차 당황합니다. 레이저를 쏘고 있지만 착한 괴물 봉바르봉은 "괴물=위험하다"는 선입견 속에서 예상치 못한 행동을 계속 보여줍니다. 그 모습.. 2025. 7. 11.
윤여림 작가의 '상자 세상' - 버려진 상자들이 전하는 메시지 택배 상자가 점점 쌓여가고 있는 세상. 우리는 쉽게 상자를 쓰고, 버리고, 잊어버렵니다. 어느 날 상자가 움직이기 시작한다면 어떻게 될까요?상자 속에 담긴 깊은 이야기'상자 세상'은 마치 현대 사회를 그대로 비춰주는 거울 같은 책입니다. 우리가 무심코 소비하고 버리는 택배 상자들, 그 상자들이 점점 모여들어 사람과, 집 도시까지 집어삼키는 상상 속 이야기입니다. 처음에는 유쾌하게 느껴지지만, 책장을 넘기다 보면 마음 한구석이 편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만든 세상이자, 우리가 외면하고 있는 결과가 상자를 통해 드러나는 듯 합니다. 책이 주는 메시지는 경고일까? 책 속에서 상자들이 말합니다. "나는 꿈에 나무였어" 이 장면은 우리가 흘려보낸 포장재 뒤에는 생명이 있었고, 그 생명을 우리가 만든 편리함의 그림.. 2025. 7. 10.
콜린 피에레 작가의 '더 이상 아이를 먹을 수는 없어' - 아이를 먹던 괴물은 왜 식탁에서 아이를 내려놓았을까? "이제는 더 이상 아이를 먹을 수 없어"이 한 문장으로 시작되는 책은 유쾌한 그림체와는 달리 철학적 메시지를 독자에게 던지는 책입니다. 괴물의 식탁에서 내려 온 아이들이야기 속 괴물들은 예전부터 아이를 먹고 살았습니다. 아이들은 늘 괴물들의 식사였고, 괴물들은 그것을 당연하게 여겼습니다. 어느날 부터인가 아이들이 맛이 없어졌고, 아이들을 먹으면 괴물들이 아프기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생각하기 시작합니다. "왜 더 이상 아이가 맛있지 않을까?""우리는 무엇을 잃고 있는 걸까?" 이 단순한 전환을 단순한 '입맛의 번화'가 아닙니다. 괴물들이 아이를 더 이상 먹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세상의 질서가 변하고, 아이들이 자라 어른이 되며, 괴물과 인간 사이의 경계가 희미해지는 과정이 그려집니다. 이는 우리가 익숙.. 2025. 7. 9.
'세상 끝에 있는 너에게' - 동화가 전해준 마음의 거리 작가 : 고티에 다비드, 마리 꼬드리"나의 새에게, 너의 곰이"짧지만 깊은 인사, 그리고 그 안에 담긴 우정과 애정 ,기다림읽는 내내 설레임과 얼른 둘이 만났으면 하는 소망으로 끝까지 읽은 책입니다. 디지털 시대, 우리는 정말 '연결'되어 있을까?스마트폰은 늘 손에 쥐어져 있고, 메신저 알림은 하루에도 수십 번 울립니다. 겉으로는 모두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정작 깊이 있는 대화는 점점 사라져 갑니다. '잘지내?' 라는 말에 진심 어린 대답을 주고받은 게 언제였는지 조차 기억나지 않습니다. 디지털로 소통하지만 마음은 어쩌면 더 멀어지고 있는 건 아닐까요?'세상 끝에 있는 너에게' 편지 한장이 책의 주인공은 멀리 떨어진 친구를 위해 매일 매일 편지를 씁니다. 편지를 쓰면서 곰은 사막을 건너고 바.. 2025. 7. 6.
권자경 작가의 '가시 소년' - 가시를 세운 아이, 진심을 품은 아이 우리는 종종 사람들의 날카로운 말이나 까칠한 태도에 당황하거나 상처받곤 합니다. 아이들도 마찬가지 입니다. 날카로운 말을 하는 사람은 정말 나쁜 사람일까요? 왜 아이는 가시를 세우게 되었을까?[가시소년]의 주인공은 말 그대로 몸에 가시를 두른 소년입니다. 사람들이 다가오면 툭툭 말을 쏘아붙이고, 화가 나면 날을 세워 상처를 줍니다. 이 모습이 낯설지 않습니다. 감정을 다루기 어려운 아이들,특히 마음에 상처가 있는 아이들은 쉽게 분노하거나 방어적으로 변하기 마련입니다. 그 가시는 '나를 더 이상 다치지 않게 하려는 보호막'인것 같습니다. 어른들도 그런 경험이 있습니다. 사실은 슬퍼서, 두려워서, 외로워서 마음의 문을 닫고 상처 주는 말부터 내뱉었던 순간들 말입니다. 그 아이도 마찬가지입니다. 말하지 못.. 2025. 7. 5.
모니카 페트 작가의 '행복한 청소부' - 일의 의미와 배움의 가치를 전하는 이야기 저는 이 책의 표지에 그려진 청소부의 얼굴이 어릴 적 기억에 남아있습니다.어른이 되어 이 책을 다시 읽어보니 일의 존중과 배움의 즐거움을 가르쳐 주는 책이었습니다. 특별한 마인드를 가진 행복한 청소부이 책의 주인공은 매일 파란 작업복을 입고 자전거를 타며 거리의 표지판을 닦는 청소부 입니다. 어느 날 그가 청소하는 '음악가와 작가 거리'에서 아이와 엄마가 하는 이야기를 듣고"나는 매일 이 거리를 청소하지만, 이곳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고 있구나" 하며 깨달음을 받습니다. 그날부터 청소부의 새로운 여행이 시작됩니다. 일상에 내머리를 '띵'하게 울리는 순간들이 있습니다. 이런 깨달음으로 시작하는 사람이 있고, 애써 깨달음을 지우려고 하는 사람도 있을 것 같습니다. 생각을 바로 실천하는 청.. 2025. 7. 4.